블루메미술관

 


©BMCA All rights reserved.



정원놀이



Childern’s Garden


|


정원놀이


2017.7.15(Sat) - 2017.9.3(Sun)

|


|

정원에서 잃어버린 놀이의 즐거움을 회복하다
참여작가ㅣ김도희, 노해율, 리즈닝미디어, 박지숙, 유현정, 윤가림/ 가든디자이너 오경아, 슬로우파마씨, 이화여자대학교 자연사박물관

정원에서 잃어버린 놀이의 즐거움을 회복하다. 효율중심의 현대사회에서 역으로 그 가치를 주목받고 있는 정원 그리고 정원일의 가치를 놀이와 접목한 <정원, 놀이>전은 한 뙈기 땅이라도 흙만 있으면 무엇이든 자라게 하는 자연의 생명력과 흙만 있어도 무엇이든 상상하며 노는 아이들과의 관계에 대해 묻는다. 개관 5주년을 맞이해 정원 시리즈 전시를 기획한 블루메미술관은 1부 <정원사의 시간>에서 담장이 쳐진 공간, 정원이 주는 느린 시간성과 사유에 대해 물었다면 2부 <정원, 놀이>에서는 정원에서 왜 인간은 자유를 느끼고 즐거워하는가에 대한 질문을 ‘놀이’라는 키워드에서 찾았다. 순수한 인간 본연의 모습에 보다 가까운 아이들의 관점에서 정원은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유한한 테두리 공간에 무한의 자연을 담아내는 정원은 마치 타임머신처럼 그곳에 들어선 이를 전혀 다른 시공간으로 이끈다. 눈과 손에 닿는 정원의 볼 것, 만질 것들은 정답이 없는 열린 재료로 새로운 상상놀이를 가능케 하고 사회적으로 정의된 일상을 되돌아보게 한다. 정원에서 소꿉놀이로 차려진 식탁은 그 어느 가정의 식탁보다 풍요롭고 흥미로우며, 흙과 식물들 사이를 오가는 정원 공간의 숨바꼭질 놀이는 숨고 찾는 놀이 행위에 영감과 사유를 불러일으킨다. 정원 안에서 이뤄지는 모든 일은 인간의 오감을 자극하고 잊혀졌던 놀이 인자를 작동하게 한다. 놀이를 통해 아이들은 웃음을 찾고 스스로 행복이 무엇인지 깨닫게 되고, 타인을 받아들이며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힘을 기른다. 이는 정원을 경작하고 돌보는 동안 생명이 생겨나 유지되게 하려면 받은 것보다 더 많은 것을 돌려주어야 하는 흙의 입장을 이해하는 과정과 닮아있다. 정원을 가꾸는 것은 한 뼘의 땅에서 자신을 돌아보는 미시적인 것에서 타인을 이해하며 지구 전체로까지 관계를 확장하며 한 인간의 사고와 인식의 폭을 확장시키는, 작지만 거대한 일이다. 정원에 숨겨진 크고 작은 놀이와 이야기들을 소통하고자 하는 이 전시는 현대미술작가들과 가든디자이너들의 작품으로 구성될 것이다. 자연을 재료로 한 예술의 공간이자 제 3의 자연인 정원에 예술가들이 들어오는 것은 낯설지 않다. 정원일이 놀이이자 예술인 정원사의 모습이 예술가의 모습과 같기 때문이다. 100살이 넘은 미술관의 큰 나무를 놀이대상으로 만든 김도희의 색 밴드 놀이터, 전시장에 그네를 설치한 윤가림, 손 안의 기차를 타고 개미의 관점으로 땅 안팎을 넘나드는 리즈닝미디어의 작은 정원여행은 놀듯이 작품을 만들고 숨겨진 공간을 드러내며 함께 노는 재미를 선사한다. 가든 디자이너 슬로우파마씨는 전시장을 과학실로, 관객을 실험자가 되게 하여 식물탐구놀이로 이끌고, 오경아·임종기는 실제 정원시공에 사용되는 산업자재인 배수관을 토끼굴 놀이터로, 우수관을 활용한 물주기 놀이로 쓸모 있는 것과 없는 것의 경계를 무너뜨리는 놀이의 본질을 경험하게 한다. 전시장의 계단을 이용해 관객의 걸음을 붙잡아 놓는 노해율의 느리고 불편한 조각, 관객 참여로 완성되는 박지숙의 비밀의 정원은 아이들의 몸을 움직여 노는 풍경을 만든다. 창조하는 마음은 좋아하는 대상과 함께 놀며 생겨나는 것이다. 프랑스어에 브리콜뢰르 bricoleur라는 단어가 있다. ‘손에 잡히는 재료로 척척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이라는 의미이다. 아이들이 노는 모습을 지켜보면 땅에 떨어진 것들을 모아 놀이에 활용하는 훌륭한 브리콜뢰르들이다. 도토리 깍지와 나뭇가지가 아이의 눈에는 숟가락이 되고 솔방울은 아기 새가 된다. 예술가들의 모습에 아이들의 모습이 투영되는 것도 같은 이유이다. 올 여름 미술관 안으로 들어온 아이들의 정원에서 우리 모두 브리콜뢰르가 되어보자. 정원 속에 숨겨져 있던 평범한 것들에서 잊혀진 인간의 모습, 놀이하는 인간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다.

후원ㅣ한국문화예술위원회
기획ㅣ김소영, 김은영
진행 및 교육ㅣ김미란, 이회남, 김민지
사진ㅣ박현욱
디자인ㅣ노현지

|

To recover the joy of the lost play in the garden
Participating artistsㅣDohee Kim, Haeyul Noh, Reasoning Media, Jisook Park, Hyunjung Yu, Kalim Yooon, Kyungah Oh, Slow Pharmacy, Ewha Womans University Natural History Museum

We recover the recreational pleasure and enjoyment we have lost in a garden. The value of gardens and gardening draws attention in contemporary society which otherwise seeks only efficiency. While bringing such a value and the act of playing together, this exhibition inquire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which grows everything from its land and children who are able to imagine everything and only play with the earth. This art show tries to look for the answer to the question, “Why do humans feel freedom and joy in a garden enclosed by walls?” in the keyword “play” from the standpoint of children, beings considered to have a more innocent human nature. Gardens that hold infinite nature within their finite spaces usher visitors to a completely different space-time much like a time machine does. Things we see and touch in gardens enable us to be involved in a new imaginative game and look back on our socially defined everyday life as open sources. A table set as a play house in a garden is more interesting and sufficient than any other table in one’s home. Similarly, playing hide-and-seek in a garden arouses inspiration and ideas as one moves around plants and nature. Children are able to recover their cheerfulness, realize what happiness is, embrace others, and build up their strength to overcome any crisis through the act of playing. This process takes after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nature of earth (which gives back more things than what it has received) when we try to give rise to and maintain life as we cultivate and take care of a garden. Tending a garden is an insignificant yet significant act which allows us to look back on ourselves, understand others, extend our relationships all over the globe, and expand the scope of our thoughts and perceptions. This art show was designed to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through the plays and narratives hidden behind it featuring works by artists and garden designers. It may be quite natural for artists to work with gardens as they are artistic spaces with natural materials and the third nature. Gardeners also bear a resemblance to artists as their work can either be play or art. Kim Dohee’s work slows down the movements of viewers by allowing them to pass through and dodge colored bands surrounding a 100-year-old oak. This is done so as to encourage them to stay near the tree. Slow Pharmacy’s plants held in beakers enable viewers to explore nature by turning the venue into a laboratory. Seeds examined through a microscope are pigeonholed as a completely different species. Reasoning Media’s travel to a garden by a miniature train arouses our curiosity from an ant’s viewpoint, moving in and out from the ground. Plants on the back of a whale-shaped drainpipe and plants on a rain water pipe by garden designer Oh Kyungah broaden the spectrum of plants that are as diverse as human appearances. Noh Haeyul’s slow, laborious sculpture causes viewers to hesitate by using differences of the steps’ height while Park Jisook’s garden space for strolling completed through viewer participation brings about a scene in which children may play by moving their bodies. One might feel the wind as he or she stays in the garden while playing on Yoon Kalim’s swing. Others can look for the hidden geometry in nature and play hide-and-seek in a space fabricated by Yu Hyunjung in collaboration with the Ewha Womans University Natural History Museum. This stimulates the five senses of viewers and makes forgotten factors of play come into action once more. Carl Jung asserts that it is one’s play instinct, not one’s intelligence, that plays a key role in creating something new. Individuals come to feel a creative impulse when they play with an object they like. The French term bricoleur refers to one who creates something using whatever materials are available. We have come to realize that children are outstanding bricoleurs who can utilize materials obtained from the ground in their play — twigs can be used as spoons while pine cones can become chicks. Artists are similar to them by the same token. Johan Huizinga, a Dutch historian who sees play as an activity deriving from human nature, famously argues in his book Homo Ludens that play starts from one’s exploration of the images in his or her heart. To him, play is not merely a child’s offbeat activity as it may also be an adult’s way of seeking some biological drive. This exhibition is intended to recover aspects of play or humans engaging in play that people have forgotten through a children’s gard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