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메미술관

 


©BMCA All rights reserved.



정원사의 시간



The Time of Gardener


|


정원사의 시간


2017.4.1(Sat) - 2017.6.25(Sun)

|


|

식물과의 일, 정원에 관하여
참여작가ㅣ강운, 김원정, 김이박, 임택, 최성임

미술관에서 정원일을 이야기하다. 흰 벽으로 둘러싸인 미술관에서 식물과의 일을 도모하다. 현대인들이 자신의 일상 공간에 식물을 들이는 것처럼 사람의 공간인 미술관에서 식물과 함께하는 삶을 이야기해본다. 크고 작은 정원을 직접 만들고, 찾아 다니며, 식물을 가까이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왜 일까? 가속화된 현대문명의 사회에서 사람들은 왜 그것에 역행하는 듯한 속도와 행위를 동반하는 식물과의 일, 정원을 꿈꾸는가? 2018년 5월 마곡지구에 문을 여는 서울식물원은 ‘식물, 문화가 되다’라는 모토로 또 하나의 공원이기보다 정원문화의 보급지가 되고자 한다. 정원이 문화사가 되는 것은 단지 꾸밈의 공간이 아닌 인식의 전환, 즉 세상을 보는 방식을 바꾸어 놓기 때문이다. 정원사의 세계는 정원사가 아닌 이의 세계와 다르다. 작은 화분 하나를 집안에 들이는 것도 그것이 구분된 새로운 시간과 공간을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이 전시는 특히 정원이 만들어내는 새로운 시간성에 주목한다. 한 뙈기의 작은 땅이라도 그 공간에서 흙을 일구고 식물을 가꾸며 돌보는 행위는 어느 순간 멈추어버린 듯 반복되기만 할 뿐인 현대인들의 일상에 잃어버린 시간을 회복시킨다. 직선적으로 빠르게 소모되는 것만 같은 시간이 정원에서는 느리고 영원한 것으로 다가오는 것이다. 봄에서 시작하는 문명의 시간질서와 달리 가을을 출발점으로 보는 정원사의 사계절은 순식간에 과거로 밀려나는 현재를 붙드는 현대의 시간성과 달리, 눈에 드러나지 않는 미래를 바라보게 하는 보다 단단하고 근원적인 흐름 위에 일상을 위치시킨다. 담장이 처진 닫힌 공간 속 식물과의 일을 벌이는 정원에서 왜 시간은 느려지고 풍부해지는가? 5명의 현대미술작가들이 정원이라는 공간의 골격을 추상화한 전시장에서 식물의 자리에 들어간 작품들을 통해 이같은 물음에 답해본다. 강운의 구름 그림이 인간이 만든 유한한 공간에 자연의 무한함을 담는 정원과 캔버스의 유사함으로 구체적인 공간과 시간이되 자연의 섭리로 이를 뛰어넘는 정원과 예술의 자유함을 이야기한다면, 임택의 프레임 안 대나무 정원은 복잡한 인간사의 거울처럼 사람의 이야기를 담아내기에 그 시작과 끝이 없는 정원의 서사적인 시간을 보여준다. 빈 그릇에 전시장 근처의 흙을 담아 잡초일지 꽃일지 모를 싹을 틔우는 김원정은 긴 호흡의 기다림, 그 예측불가능함, 사회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것이기에 분석되지 않는 식물의 느린 시간성을 직접 경험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반해 정원에서 일어나는 돌봄의 행위에 주목하는 김이박과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땅 속의 일과 그 경계를 이야기하는 최성임의 작품들은 유무형으로 쌓여가며 이어지고 움직이는 관계의 언어로 정원의 시간을 돌아보게 한다. 예술의 언어를 통해 작품들은 생명의 원리로 질서화된 정원이 주는 시간성이 우리로 하여금 무엇을 깨닫고 어떤 힘을 얻게 하는지 되묻는다. 식물과 함께 하는 공간과 시간 안에서 일어나는 일. 크고 작은, 어떤 형태의 정원이든 그 안에서 일어나는 식물의 일과 사람의 일은 비밀스러울 정도로 언어화하기 어렵다. 그 안에 들어가는 경험을 통해서만 설명할 수 있다. 이 전시는 그 신비스러운 경험에 관한 것이다.

전시자문ㅣ서울대학교 원예생명공학과 교수 김기선, 환경대학원 교수 조경진, 마이알레 소장 우현미, 디자인 오키즘 대표 김옥경
기술협력ㅣ윤태하
후원ㅣ한국문화예술위원회
기획ㅣ김은영
진행 및 교육ㅣ김소영, 김미란, 이회남, 김민지
글ㅣ김은영
사진ㅣ박현욱
디자인ㅣ엄진아

|

Working with plants, About the garden
Participating artistsㅣKang Un, WonJung Kim, Kim Lee-Park, Taek Lim, Sungim Choi

We discuss gardening in the museum. We bring plants into the museum surrounded by white walls. We make comments on our lives that go together with plants in a place that is deemed to be a site for humans. It is almost as if contemporary people allowed plants to enter into their quotidian space. More and more people are keeping small and large gardens and are trying to stay around plants. Why is that? Why do people dream of being together alongside plants and gardening at a slow pace while living in a rapidly changing contemporary society? Intrinsic to every plant is its own space and time. This means that the act of bringing a plant indoors is like generating a new space and time. Making a garden or walking into a garden is concerned with our desire to encounter and possess another world that is not a part of our everyday life. This exhibition is intended to give our own answer to the question concerning what time and space pertaining to gardens and gardening are like. A plant occupies a space in the dirt but it also empties space at the same time. It obviously takes up space since it is made up of matter but its static space makes the invisible visible with its serene breath. Its shaking branches signal the existence of the wind and its dried, soft leaves convey the air and temperature. We discover infinitude through finitude in the space of the earth where we give birth to, grow, and bury plants. We try to create a garden that refers to “a closed space” since it is a space that enables us to experience nature’s infinitude. We feel provisions of nature, extend the scope of our everyday life, and feel freedom within it through the act of taking care of the ground and growing plants, moving beyond the space-time that surrounds us who are finite. In this sense, the garden takes after the museum. They are both places that have been created by humans but remain closed while conveying narratives on infinite notions and entities through humanity’s act of honing and cultivating physical materials and enabling visitors to experience them. The only difference between them is whether this relationship with plants is something natural or artificially brought on by human hands and ideas. This exhibition demonstrates a conceptual approach to the garden in terms of both space and time. What does it mean that we encounter plants in a confined space where affairs pertaining to them take place and we experience a lapse of time while cultivating them?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making a trip to a mountain or forest and forming a garden? This exhibition focuses on the temporality that can be found in a garden. Acts of digging soil, cultivating, and taking care of plants recover lost time in the everyday lives of contemporary humans that are made up of repetitive routines. We may feel as though time flows slowly and eternally in a garden. Unlike the time order of civilization that begins in spring or the temporality of modern times that tries to capture the present that will soon be ousted and turned into the past, a gardener who sees autumn as a departure point places everyday life on the solid, underlying flow that enables us to look at the invisible future. Why does time begin to flow slowly and become enriched in the closed space of a garden in which affairs involving plants take place? This art show has been designed to ask this question at the exhibit venue that represents the space of a garden. Kang Un’s cloud painting is a reference to a garden that can occupy any concrete space and time yet goes beyond them through the providence of nature and liberty in art. He signifies that the garden possessing the finitude of nature in humanity’s finite space has parallels in the canvas. Taek Lim’s framed bamboo garden displays the narrative time of a garden that has no beginning and end as it encompasses human stories just like a mirror that reflects intricate human affairs. WonJung Kim has viewers experience a long wait, unpredictability, and the slow temporality of plants that escapes analysis as it cannot be defined socially as the artist grows a weed-like plant in an empty basin filled with dirt from the bare ground. In contrast to this, works by Kim Lee-Park who focuses on an act of care in a garden and Sungim Choi who talks about what occurs in the ground and on its borders enable viewers to look back on the time of a garden in relational idioms that are amassed, linked, and in movement. The works on display at this exhibition once again inquire into the meaning of temporality in the garden, what the principles of life can help us to realize, and what ability it gives us in the language of art. It is quite difficult to express what happens in the space and time shared with plants and what happens in a garden – be it large or small or related to plants or humans. It can only be accounted for when we undergo the experience of entering such a place. This exhibition is apropos of this mysterious experience.